2025년은 기술 창업자들에게 새로운 도약의 해가 될 것입니다. AI, 블록체인, 지속가능성, 그리고 인간 중심 기술이 결합되며 기술 스타트업 생태계는 빠르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IT 분야에서 스타트업이 주목해야 할 핵심 트렌드 7가지를 사례와 함께 정리해 드립니다. 초기 창업자는 물론, 방향성을 고민하는 예비 창업자들에게도 유용한 인사이트가 될 것입니다.
1. Vertical AI (도메인 특화 AI)의 부상
왜 중요한가?
범용 AI(예: ChatGPT)는 다양한 질문에 답할 수 있지만, 특정 산업 문제를 깊이 있게 해결하지는 못합니다. Vertical AI는 의료, 법률, 교육, 여행 등 하나의 분야에 특화되어 전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AI입니다. 이는 실제 기업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어 스타트업에 큰 기회를 제공합니다.
예시
- 한국에서는 ‘닥터앤서’처럼 의료 특화 AI가 빠르게 자리 잡고 있음
- 미국의 Harvey는 로펌을 위한 AI로 수백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
기회
- 특정 산업 데이터만 있으면 소형 LLM(sLLM)을 구축해 B2B 시장 진입 가능
2. AI 에이전트 & 자동화 워크플로우
왜 중요한가?
AI 에이전트는 인간 대신 업무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지능형 도구입니다. 복잡한 스케줄 조정, 이메일 작성, 고객 문의 응대 등 반복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어 생산성을 크게 높입니다. 특히 소규모 스타트업에서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예시
- Devin AI: 자율 코딩 에이전트로 개발자의 업무를 대체 가능성 제시
- Kore.ai: 기업용 고객센터 챗봇 자동화 솔루션으로 전 세계 도입 중
기회
- 스타트업이 SaaS 형태로 업무 자동화 툴을 제공해 빠른 수익화 가능
3. 지속가능 기술(Greentech) & 탄소중립 솔루션
왜 중요한가?
기후 위기 대응과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트렌드로 인해 기업들이 지속 가능한 경영을 요구받고 있습니다. 특히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측정하는 기술이 필수가 되면서 관련 기술 스타트업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정부나 대기업과의 B2B 계약으로 안정적인 수익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예시
- Wren, Watershed 등은 기업 탄소 배출 계산 SaaS로 시장 확보
- 한국 스타트업 리트그리너: 전력 데이터 기반 절감 솔루션 제공
기회
- B2B SaaS 또는 ESG 보고 자동화 도구에 적합한 기회 다수
4. Generative AI + 창작 도구 통합
왜 중요한가?
Generative AI(생성형 AI)는 그림, 영상, 텍스트, 음악 등 다양한 콘텐츠를 자동으로 만들어 줍니다. 기존에는 전문가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했던 작업을 누구나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창작자나 1인 미디어 종사자에게 새로운 도구로 각광받고 있어 관련 시장도 함께 커지고 있습니다.
예시
- Runway: 영상 편집과 생성 AI의 융합으로 콘텐츠 시장 혁신
- Adobe Firefly: 디자인 툴에 생성형 AI 접목, 크리에이터 생산성 향상
기회
- 창작자·1인 미디어 대상 B2C 플랫폼 창업 기회 풍부
5. 디지털 휴먼 & 아바타 산업 확대
왜 중요한가?
디지털 휴먼은 실제 사람처럼 행동하고 말하는 가상의 인물을 말합니다. 특히 젊은 세대는 실존 인물보다 디지털 캐릭터에 더 큰 관심과 친밀감을 보이며, 광고·교육·방송 분야에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저비용으로 고퀄리티 아바타 제작이 가능해진 것도 큰 장점입니다.
예시
- 한국 스타트업 디오비스튜디오: AI 모델 영상 자동 생성
- 중국의 립신크 아바타 서비스: 라이브 방송 시장에서 폭발적 인기
기회
- 교육, 커머스, 엔터테인먼트 분야로 확장 가능성이 매우 큼
6. 글로벌 진출형 K-스타트업 증가
왜 중요한가?
초기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한국 스타트업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내 시장만을 바라보던 시대는 지났고, 영어 기반 UX와 글로벌 마케팅 전략을 초기에 세우는 것이 중요한 성공 요인이 되었습니다. 정부도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있어 창업 초반부터 도전하기 좋은 환경입니다.
예시
- 뤼튼테크놀로지스: 생성형 AI 기반 영문 카피라이팅으로 해외 투자 유치
- 보이저엑스: 글로벌 영상편집툴 시장을 정조준
기회
- 초기부터 영어권 시장을 겨냥한 기획, UX 설계로 유니콘 가능성 확대
7. 창업 인프라의 국민화: 저코드/노코드 툴
왜 중요한가?
프로그래밍을 몰라도 앱, 웹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저코드/노코드 툴이 널리 퍼지고 있습니다. 기술에 자신 없는 예비 창업자도 아이디어를 빠르게 MVP로 만들 수 있어 창업 진입 장벽이 낮아졌습니다. 실제로 이 툴들을 활용해 수익을 내는 1인 창업자도 늘고 있습니다.
예시
- Glide, Bubble, Softr 등으로 앱을 직접 제작하는 개인 창업자 증가
- 한국에서는 스윗(Suite), 데이블 등의 툴 기반 SaaS 기획자 창업 증가
기회
- “기획자도 만들 수 있다”는 흐름에서 틈새 창업 시장 다수 발견 가능
마무리 🧭
2025년은 기술보다 문제 해결 중심의 창업이 더욱 중요해지는 해입니다. 기술은 수단일 뿐, 고객의 고통을 해결하는 방식이 승부를 가를 것입니다. 이 7가지 트렌드를 잘 분석하고, 자신만의 실행 전략으로 연결시킨다면 시장에서 한 걸음 앞서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 참고 자료
- CB Insights: Tech Trends 2024-2025
- Y Combinator Demo Day 2024 리뷰
- AI 분야 VC 투자 리포트 (Sequoia Capital, 2024)
- 창업진흥원 2024 정책 동향 자료
'IT 기술 창업 길잡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 분야별 IT 스타트업 창업 체크리스트 5가지 - 금융 산업 편 💰 (4) | 2025.04.11 |
---|---|
각 분야별 IT 스타트업 창업 체크리스트 5가지 - 게임 편 🎮 (6) | 2025.04.10 |
각 분야별 IT 스타트업 창업 체크리스트 5가지 - 에듀테크 편 🎓 (4) | 2025.04.10 |
각 분야별 IT 스타트업 창업 체크리스트 5가지 - 헬스케어 편 🩺 (0) | 2025.04.10 |
초보 창업자를 위한 IT 스타트업 준비 체크리스트 10가지 💡 (4)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