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기술 기반의 창업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환경과 기술 흐름 속에서 무한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시작이 반이라는 말처럼, 기초 준비 없이 뛰어들었다가는 큰 비용과 시행착오를 겪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IT 스타트업을 처음 시작하려는 분들을 위해 반드시 점검해야 할 10가지 체크리스트를 구체적인 사례와 단계별 액션 플랜과 함께 정리했습니다. 🔍
💬 용어 설명
- MVP(Minimum Viable Product): 최소 기능 제품. 고객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가장 기본 형태의 제품.
- TAM(Total Addressable Market): 전체 시장 규모.
- SAM(Serviceable Available Market): 실제로 접근 가능한 시장 규모.
- SOM(Serviceable Obtainable Market): 실질적으로 확보 가능한 시장 규모.
- BM(Business Model): 비즈니스 모델.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
-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성과지표. 목표 달성도를 측정하는 수치 지표.
- DAU(Daily Active Users): 일일 활성 사용자 수.
- LTV(Lifetime Value): 한 사용자가 서비스에 머무는 기간 동안 발생시키는 총 수익.
1. 문제 정의와 시장 니즈 파악
✅ 액션 플랜
- 타겟 고객 인터뷰 5명 이상 진행
- 경쟁사 리뷰 및 사용자 후기를 분석하여 불만 요소 추출
- 온라인 커뮤니티(예: Reddit, 블라인드, 네이버카페) 키워드 모니터링
예시: 배달의민족은 “전화로 음식 주문하는 게 불편하다”는 문제에서 출발해 앱 기반 주문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2. 최소 기능 제품(MVP) 정의
✅ 액션 플랜
- 가장 핵심 기능 1~2개만 정의
- 와이어프레임 제작 및 프로토타입 테스트
- 피드백 기반으로 MVP를 반복 개선
예시: 에어비앤비는 ‘숙소 사진 + 예약 요청’만 있는 간단한 형태로 시장에 출시했습니다.
3. 경쟁사 및 시장 분석
✅ 액션 플랜
- 3개 이상의 경쟁 서비스 기능 및 가격 구조 분석
- SWOT 분석 도표 작성
- 시장 크기 추정 (TAM/SAM/SOM)
예시: 토스는 복잡한 금융 UX 대신 ‘간단 송금’ 하나에 집중하며 차별화에 성공했습니다.
4. 기술 스택과 개발 자원 확보
✅ 액션 플랜
- 기술 구현에 필요한 프론트/백엔드 기술 스택 정의
- 개발이 가능한 공동창업자 또는 외주 파트너 연결
- GitHub, Notion 등 협업 툴 준비
예시: 카카오톡은 초기 서버를 외주로 개발하고, 이후 자체 개발팀을 강화했습니다.
5. 비즈니스 모델 설정
✅ 액션 플랜
-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2가지 이상 모델 시나리오 정의
- 유사 BM의 성공 사례 리서치
- 유료화 타이밍과 방식 정리
예시: 배달앱은 초기 무료 제공 후 광고·수수료 기반 수익 모델로 전환했습니다.
6. 팀 구성과 역량 밸런스
✅ 액션 플랜
- 공동 창업자 간 역할 정의 및 파운더 간 계약서 작성
- 팀 내 결원 영역 파악 (ex. 마케팅, 개발 등)
- 자문단 구성(멘토 또는 업계 선배)
예시: 쿠팡은 각 부문별 전문가들을 영입하며 조직의 전문성을 강화했습니다.
7. 초기 자금과 자금 조달 전략
✅ 액션 플랜
- 초기 3개월~6개월 운영자금 예산 계획서 작성
- 정부지원사업 2개 이상 신청 준비
- 엔젤투자자 또는 IR 네트워킹 참여
예시: 클래스101은 TIPS 프로그램으로 초기 MVP와 시장 검증에 성공했습니다.
8. 법률, 지적재산권, 법인 설립 준비
✅ 액션 플랜
- 법인 설립 전 상호 검색 및 상표권 선등록
- 간이 특허조사 및 사업화 검토
- 변호사 또는 스타트업 법률지원센터 상담 신청
예시: 유사 앱 명칭 문제로 소송을 겪은 스타트업 사례 다수 → 상표 선등록은 필수!
9. 고객 확보 전략과 마케팅
✅ 액션 플랜
- 타겟 오디언스를 정의한 1차 마케팅 전략 수립 (SNS, 커뮤니티 중심)
- 랜딩페이지 제작 및 트래픽 유입 실험
- 조기 사용자 확보를 위한 리워드 캠페인 기획
예시: 당근마켓은 지역 커뮤니티 중심 마케팅으로 빠르게 초기 유저를 확보했습니다.
10. 성장을 위한 지표 설정
✅ 액션 플랜
- 핵심 KPI 3가지 정의 (예: DAU, 전환율, LTV)
- 지표 측정 도구(GA4, Mixpanel 등) 설정
- 주간/월간 리포트 자동화 시스템 구축
예시: 마켓컬리는 재구매율을 중심 KPI로 설정하고 사용자 경험 개선에 집중했습니다.
마무리 🎯
IT 분야의 기술 창업은 마라톤입니다. 빠른 실행도 중요하지만, 기초 체력을 단단히 갖춘 후 시작하는 것이 더 먼 길을 갈 수 있는 열쇠입니다. 위의 체크리스트는 창업 여정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기본이자 핵심입니다. 하나씩 실천 가능한 액션 플랜과 함께 단계적으로 실행해보세요.
📚 참고 자료
- Eric Ries, 『The Lean Startup』
- Y Combinator Startup School (https://www.startupschool.org/)
- K-Startup 창업지원포털 (https://www.k-startup.go.kr/)
- Crunchbase (https://www.crunchbase.com/)
- TIPS 프로그램 (https://www.jointips.or.kr/)
- 창업진흥원 사례집 (https://www.kised.or.kr/)
'IT 기술 창업 길잡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 분야별 IT 스타트업 창업 체크리스트 5가지 - 금융 산업 편 💰 (4) | 2025.04.11 |
---|---|
각 분야별 IT 스타트업 창업 체크리스트 5가지 - 게임 편 🎮 (6) | 2025.04.10 |
각 분야별 IT 스타트업 창업 체크리스트 5가지 - 에듀테크 편 🎓 (4) | 2025.04.10 |
각 분야별 IT 스타트업 창업 체크리스트 5가지 - 헬스케어 편 🩺 (0) | 2025.04.10 |
2025년 주목해야 할 IT 스타트업 트렌드 Top 7 🚀 (1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