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혁신과 감성이 만나는 블로그! 최신 AI 트렌드와 창의적 아이디어를 공유하세요.

서비스 개발 A ~ Z

📖 IT 서비스 분석과 기획 과정 (웹앱)

네오_Neo 2025. 4. 13. 14:37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오늘은 IT나 개발 지식이 전혀 없는 분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웹앱 서비스의 분석과 기획 과정을 아주 쉽게 설명해보려 합니다. 웹앱이란, 우리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인터넷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이에요. 배달앱, 인터넷 쇼핑몰, 온라인 학습 앱 같은 것들이 모두 웹앱이죠.

그럼, 이런 웹앱을 만들기 전에 꼭 거쳐야 하는 서비스 분석과 기획 단계를 차근차근 알아볼게요. 📌

<IT 서비스 기획>


1️⃣ 서비스 분석이란?

웹앱을 만들기 전에 무엇을 만들지, 어떤 문제를 해결할지 먼저 정하는 과정이에요.

📌 예를 들어

"동네 맛집 추천 웹앱"을 만든다고 하면,

  • 사람들이 어떤 불편을 겪고 있는지 조사 (예: 동네에서 갈만한 맛집을 쉽게 찾기 어려움)
  • 비슷한 서비스가 이미 있는지 찾아보기 (예: 망고플레이트, 식신 등)
  • 그 서비스들은 어떤 기능이 있는지, 무엇이 불편했는지 확인하기

이 과정을 통해 우리 서비스만의 차별점이나 해결 방법을 찾는 거예요.

📌 꼭 해야 하는 필수 요소

  • 사용자 문제 정의 : 어떤 문제를 풀고 싶은지 명확히 정하기
  • 경쟁 서비스 조사 : 같은 시장에 있는 서비스의 기능과 한계 파악하기
  • 타겟 사용자 설정 : 이 앱을 누가 쓸지(연령대, 관심사, 사용 상황 등)

📌 이렇게 하면 좋아요

  • 친구, 가족, 지인에게 물어보기
  • 인터넷 검색으로 리뷰, 후기 찾아보기
  • 비슷한 앱 직접 써보기

2️⃣ 서비스 기획이란?

이제 분석이 끝났다면 어떤 기능을 만들지, 화면은 어떻게 구성할지 정리하는 작업이에요.

📌 주요 기획 과정

  1. 목표 정하기
    • 왜 이 앱을 만드는지, 누구를 위한 건지 정하기
    • 예: “동네 주민들이 편하게 맛집을 찾게 돕자”
  2. 주요 기능 정리하기
    • 앱에 들어갈 기능을 목록으로 정리
    • 예: 맛집 검색, 맛집 추천, 사용자 리뷰 등록, 지도 보기 기능
  3. 화면 구성 기획 (와이어프레임 그리기)
    • 화면 구성 기획이란 앱이나 웹사이트를 만들 때 각 화면에 어떤 기능과 내용이 들어갈지 미리 설계하는 것이에요.
    📌 쉽게 따라하는 방법
    1) 가장 중요한 화면부터 정하기
    • 첫 화면(홈), 검색 화면, 상세보기 화면 등 필수 화면을 나열해보세요.
    2) 각 화면에 들어갈 요소 목록 정리
    • 예: 홈 화면 → 검색창, 추천 맛집 리스트, 로그인 버튼
    • 상세보기 화면 → 맛집 사진, 메뉴, 리뷰 보기, 위치 지도
    3) 종이에 네모 상자 그려서 배치하기
    • 종이에 사각형을 그려 화면을 나누고, 그 안에 기능이나 글씨 위치를 써보세요.
    4) 기능 이동 흐름도 그리기
    • 사용자가 홈에서 검색 → 검색 결과 → 상세보기로 이동하는 과정을 화살표로 연결해보세요.
    📌 필수 요소
    • 화면별 기능 설명 : 어떤 버튼이 어떤 동작을 하는지 기록
    • 기능 간 이동 흐름 : 사용자가 어디서 어디로 이동하는지 명확하게 정리
    • 기본 디자인 컨셉 정리 : 색상, 버튼 형태, 폰트 등 대략적인 디자인 방향 정해두기
    📌 도움이 되는 도구
    • Figma(피그마) : 화면 구성도(와이어프레임)를 쉽게 만들 수 있는 온라인 툴 (무료) https://www.figma.com/
    • 캡쳐/스케치북 : 종이에 그려서 사진 찍어 공유해도 충분해요!
      <출처 : Figma>
  4. 사용자 입장에서 시나리오 만들기
    • 사용자가 이 앱을 어떻게 쓸지 상황을 정해보는 것
    • 예: “OO씨가 점심시간에 동네 맛집을 검색하고 리뷰를 남긴다”
    📌 꼭 포함해야 할 것
    • 상황 설정 : 언제, 어디서, 왜 사용하는지
    • 사용 순서 : 어떤 화면을 차례로 보고 어떤 기능을 이용하는지
  5. 디자인 참고자료 모으기
    • 예쁜 앱, 비슷한 서비스 화면 캡쳐해두기
    • 색상, 버튼 모양, 글꼴 스타일 참고하기

 


3️⃣ 쉽게 할 수 있는 도구 추천

  • Figma(피그마) : 화면 구성(와이어프레임)을 쉽게 그릴 수 있는 프로그램. 무료 버전도 있어요. https://www.figma.com/
  • Notion(노션) : 기능 정리나 시나리오 작성할 때 깔끔하게 정리 가능. https://www.notion.so/ko-kr
  • 캡쳐/스케치북 : 종이에 그려도 충분히 가능. 사진 찍어서 공유하면 OK!

✅ 마무리

웹앱 서비스 분석과 기획은 개발자가 아니어도 누구나 할 수 있어요. 중요한 건 사람들이 어떤 불편을 겪는지 알아보고, 어떻게 해결할지 고민하는 것이에요. 그걸 차근차근 정리해두면 개발자는 그걸 보고 실제로 앱을 만들어주는 거죠.

처음엔 종이에 손으로 그리면서 천천히 시작해보세요! 👌

다음 시간엔 이렇게 기획한 내용을 개발자에게 어떻게 전달하고, 개발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려드릴게요. 기대해 주세요! 🙌

반응형
LIST